분류 전체보기(119)
-
Terraform 기본
Terraform 구성요소 구성요소 내용 provider 테라폼으로 생성할 인프라의 종류를 의미한다. resource 테라폼으로 실제로 생성할 인프라 자원을 의미한다. state 테라폼을 통해 생성한 자원의 상태를 의미한다. output 테라폼으로 만든 자원을 변수 형태로 state에 저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module 공통적으로 활용할 수있는 코드를 문자 그대로 모듈 형태로 정의하는것을 의미한다. remote 다른 경로의 state를 참조하는것을 말한다. output 변수를 불러올때 주로 사용한다. tfstate 파일 과 리소스를 동기화 시키는게 키포인트 명령어 내용 init 테라폼 명령어 사용을 위해 각종 설정을 진행한다. plan 테라폼으로 작성한 코드가 실제로 어떻게 만들어질지에 대한 예측 결과..
2023.05.03 -
Devops
1.DevOps 란 DevOps 는 문화이고, 자동화 하는것이며, 항상 측정하고, 서로 투명하게 공유하고, 이 모든 것들을 축적해나가는 것이다. 5가지 철학 문화 , 자동화, 측정, 공유, 축적 철학 내용 문화 일을 어떤 방식으로 하냐에 따라 문화가 달라짐 올바른 기업문화를 갖는것이 중요 자동화 변경에 유연하고 탄력적인 서비스 만들기 어떠한 사고에 대해서도 예측하고 대응할 수있어야 한다. - 업무 자동화 - 재사용 가능한 인프라 - 지속적 통합/ 배포 - 모니터링 측정 무엇이 변경되고 변화했으면 항상 측정하기 예측 불가능한 영역을 최대한 예측 가능한 영역으로 바꾸기 방향성에 대해서 깊게 고민해야한다. 우리는 나아지고 있는지, 문제는 무엇인지 항상 측정해야 한다. 공유 구성원 모두가 대부분의 데이터를 언제..
2023.05.03 -
새로운 repo 에 git commit이력까지 복사하기
git bash 창에 아래 순서 대로 입력한다. git clone --mirror // ex) git clone --mirror https://github.com/myunggiM/asis.git cd asis.git // 로컬로 클론한 곳으로 이동 git remote set-url --push origin // ex) git remote set-url --push origin https://github.com/myunggiM/tobe.git git push --mirror // 신규 레파지토리에 push
2023.05.02 -
AWS- Bamboo 솔루션 별 개념 비교
분류 Atlassian AWS 서비스명 기능 서비스명 기능 서버 X (on-premise 서버) 회사 서버 EC2 임대 서버 소스 형상관리 Bitbucket 웹기반 소스 형상관리(git 역할) Project > Repository 구조 ECR (Elastic Container Registry) 컨테이너 이미지와 아티팩트를 손쉽게 저장, 관리, 공유 및 배포 할수 있는 완전 관리형 컨테이너 레지스트리다. 배포 스크립트 정의 Bamboo Plan → stage → Job →Task 단계로 정의된 task 빌드/배포 스크립트 작성 / 실행/ 로그 관리 가능 ECS (Elastic Container Service) EC2 인스턴스에서 컨테이너 실행을 관리하는 관리형 서비스 json 으로 작성된 작업 정의서를 기..
2023.05.02 -
running pod 수정법
running 상태의 pod는 아래사항은 수정이 불가하다. - spec.container.image - spec.initContainers.image - spec.activeDeadlineSeconds -spec.tolerations 따라서, 수정하면 아래처럼 에러가난다. 해결방법은 2가지가 있다. 1. tmp 로 pod 수정 kubectl edit pod kubectl delete pod webapp kubectl create -f /tmp/kubectl-edit-ccvrq.yaml 1-2. tmp, replace로 수정 kubectl edit pod kubectl replace --force -f /tmp/kubectl-edit-ccvrq.yaml 2. newpod.yaml 생성 kubectl get..
2023.04.26 -
imperative Test
# nginx:alpine 이미지를 이용해서 nginx-pod 이름의 pod 생성 kubectl run nginx-pod --image=nginx:alpine # redis: alpine 이미지를 이용해서 redis 이름의 pod 생성 , 라벨이 tier=db 여야함. # 잘모르겠으면 kubectl run --help kubectl run redis --image=redis:alpine --labels="tier=db" # redis pod를 expose 하는 redis-service 이름의 서비스 생성 , port 가 6379 여야함. # 잘모르겠으면 kubectl expose --help kubectl expose pod redis --port=6379 --name redis-service # web..
2023.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