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 Native Korea Community Day 2024 다녀와서..
2024. 9. 29. 14:20ㆍKubernetes
Cloud Native Korea Community Day 2024 (9/24) : https://kcd-korea.net/
Cloud Native Korea Community Day 2024
Cloud Native Korea Community Day 2024, Kubernetes와 CNCF 프로젝트를 아우르는 대규모 기술 행사가 여러분을 기다립니다!
kcd-korea.net
배운점 :
- 열심히 사는 사람들 많구나. 나도 내가 구축해보고 노하우 쌓는 경험을 많이 해봐야겠다.
- 다음 세미나 전에는 강의에 보이는 용어들은 어떤 의미들인지 학습하고 가야겠다. 어디서 들어본 용어지만 정확히 뭔지 모르는 용어가 좀 있었음.
- opentelemetry 는 배워서 한번 회사에 적용해볼까
강의
- opentelemetry 기반 멀티 클러스터 k8s observability 구축 / 스마일게이트 / 유지연
- K8S LMA venti-stack 구축 / 삼성SDS / 김정민
- 10/12 gopherrcon korea 에서 venti-stack 코드 설명 예정 → 8마넌..비싸서 안가..
- 계속 라이센스 이슈 있어서 변경했다.
- 년도별로 툴을 바꿔갔다는게 대단하다고 생각했다. (와.. 멋지다)
- 2019년 ELK , Grafana , Fluentd
- 2020년 grafana , loki , promtail
- 2021년~ venti , lethe, fluent bit
- 개념
- LMA 뜻: logging monitoring alerting
- Lethe 는 Fluent bit 기반이라 메모리 ~1MB 이하로 먹음 / Fluntd 는 ~60MB
- Lethe pod 는 side car 구조로 reader에 lethe / writer 에 fluent bit 사용
- LetheQL 은 PromQL 재 사용해서 만들었다.
- Venti 는 visualizer 다.
- Helm 차트로 LMA 한번에 설치 가능
- artifactHub 에서 venti-stack 설치
- F5 CIS 와 NGINX 조합으로 Multi 클러스터 Networking 단순화 및 자동화
- Ingress 설명을 Kubernetes 공항에서 airline 형태로 설명하는 게 인상 깊었음.
6. 자율주행을 위한 차량 데이터 분석 플랫폼을 kubernetes 위에서 활용하기
- 현대자동차에서 Rancher Prime 솔루션을 쓴다고 들었는데, Rancher 를 여기서도 보다니 반가웠다.
7. OpenTelemetry 기반 멀티 클러스터 Kubernetes Observability 구축
- Grafana 로 log,Metric,Trace 데이터를 하나의 대시보드에서 분석가능하단게 인상깊었다.
- 내년 사내 도입하는거 한번 검토해봐야겠다.
강의 듣고 궁금하던 오픈소스 or 개념들 찾아봤다.
- Loki
- 오픈 소스 로그 집계 시스템
- 실시간 로그 확인 가능
- k8s pod 의 로그를 저장하는 방법 중 1
- Loki 쿼리가 제한적이라 도입 안 한 듯. elastic search는 자원은 많이 먹어도 복잡쿼리가능한 장점이 있다.
- Alloy
- Grafana alloy : 다양한 로그, Metric 을 수집하는 우수한 오픈소스를 결합한 플랫폼 (너무 좋은데?)
- OTel, Prometheus, Pyroscope, Loki 의 pipleline들을 지원한다.
- Thanos
- prometheous 와 사용되는 고가용성 Metric 집계 시스템으로 장기 저장 기능을 제공한다.
- Opentelemetry
- LMA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기 위한 API, SDK 를 제공하는 오픈소스 Framework
- 사내 개발 pod 에 적용해보고 싶다
- AGPL
-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License 중 하나
- Networking 관련 오픈소스를 수정할 경우 수정된 소스도 공개하여야 한다.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메테우스 모니터링의 범주와 흐름 (0) | 2024.08.20 |
---|---|
Dockerfile 어떻게 동작하지 하다가 Docker 정리글을 쓰게됐다. (0) | 2024.08.06 |
openshift pod 에 umask 설정하는법 (0) | 2024.03.26 |
쿠버네티스 인 액션 10장 ( Statefulset ) (0) | 2023.09.09 |
쿠버네티스인 액션 6장 볼륨 (0) | 2023.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