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bernetes] pod의 DNS 접근이 안될때는 ingress를 째려보자

2023. 5. 4. 10:43Kubernetes

실사례) dns도 등록했고, pod 도 등록했고, ingress도 등록했는데 왜!! 

아래처럼 접속 안되는거지..? 하면서 기존에 되는 ingress 정보랑 비교해보니 답이 나왔다. 

왜 안되는거야..

범인은 아래 yaml 파일의 #5 에 해당하는 address 값이 비어있었다.

아래 yaml에 #1~5 가 필수적으로 채워져야 정상 접속이 되니 다음엔 빠짐없이 들어갔는지 확인해보자!

 

1. ingress yaml에 # 쓴 부분이 비어 있지 않은지 체크 해야함. 

 

# 기존 ingress 확인하는법 
kubectl get ingress -n {namspace name} {ingress name} -o yaml 

# yaml 못찾겠으면 만드셈
kubectl get ingress -n {namspace name} {ingress name} -o yaml > ingress.yaml

# ingress 수정 
vi ingress.yaml

# ingress 적용(kubectl)
kubectl apply -f ingress.yaml

# ingress 적용(openshift)
oc apply -f ingress.yaml

#확인
kubectl get ingress -n {namspace name} {ingress name}
# ingress.yaml 파일

apiVersion: networking.k8s.io/v1
kind: Ingress
metadata:
  creationTimestamp: null
  name: prj-ui
  namespace: hshop-d-prj-ns # 1
spec:
  rules:
  - host: prj.test.com # 2
    http:
      paths:
      - backend:
          service:
            name: prj-ui-app-dev # 3
            port:
              number: 8080 # 4
        path: /
        pathType: Prefix
status:
  loadBalancer:
    ingress:
    - hostname: default.apps.dev-cluster.test.com # 5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버네티스인 액션 6장 볼륨  (0) 2023.08.19
왜 Bamboo 에서 tekton & argocd 로 바꿔야하는가?  (0) 2023.06.22
running pod 수정법  (0) 2023.04.26
imperative Test  (0) 2023.04.19
Load balancer  (0) 2023.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