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 balancer
2023. 4. 17. 20:42ㆍKubernetes
워커노드를 2개의 어플리케이션에서 같이써도, port 로 구분할 수있다.
비록, 70,71 워커노드에만 배포된다해도 서비스 덕분
클러스터의 모든 노드 port 에서 접근가능하다.
-> 만약 특정 노드에만 올리는 어플리케이션이더라도, 다른 노드에서 그 어플리케이션의 port 를 쓰면 안되겠다!
도메인을 할당하는법은 뭘까?
Load balance 를 하기 위해 새 vm 을 만드는거다.
Load Balancer를 구성하려면 모든 load balance를 설정하고 관리하는 건 지루한 작업일수 있다.
근데, 클라우드 플랫폼(AWS,Azure 등) 은 해당 클라우드 플랫폼의 네이티브 load balancer 를 활용 할수 있다.
쿠버네티스는 특정 클라우드 공급자에 네이티브 load balancer 와 통합을 지원한다.
방식은 서비스의 spec > type: Loadbalancer 로 설정하면 된다.
(주의: 지원되는 클라우드 플랫폼에서만 작동함.)
만약, virtualBox 같은 지원안되는 환경에 설정하면, NodePort로 설정하는 것과 같다.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running pod 수정법 (0) | 2023.04.26 |
---|---|
imperative Test (0) | 2023.04.19 |
Cluster IP (0) | 2023.04.17 |
Test-replicaSet (0) | 2023.04.12 |
Recap-ReplicaSets (0) | 2023.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