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tch API] kube-scheduler 가 API server를 모니터링하는 방식
2023. 4. 8. 11:28ㆍKubernetes
스케줄러 모니터링할때 어떤 방식을 쓰는지 궁금하네
-> watch API 또는 일정 주기로 API 서버에 쿼리를 수행해서 클러스터의 상태를 모니터링 한다.
* Watch API는 클러스터의 리소스 상태에 대한 변경 사항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API로, 이를 통해 kube-scheduler는 클러스터의 노드 상태, 파드 상태, 파드 생성/수정/삭제와 같은 이벤트를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스케줄링 결정을 수립한다.
- kube-scheduler 는 API 서버와 HTTP 연결을 맺고, Watch API end point에 HTTP GET 요청을 보낸다.
- API 서버는 Kube-scheduler 의 요청에 대한 응답을 반환하지 않고, 연결을 열어둔다. 이를 통해 kube-scheduler 는 계속해서 API서버의 응답을 수신 대기한다.
- 변경사항 감지: 클러스터 상태에 변경 사항이 발생하면, API 서버는 변경사항을 Watch API 의 응답으로 반환한다.
- kube-scheduler 는 응답을 받아서 변경된 리소스 정보를 추출한다.
- 재연결 및 지속적인 모니터링: Watch API 연결이 닫히면 Kube-scheduler 는 다시 API 서버와 연결을 맺고 Watch API 에 대한 새로운 요청을 보낸다.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Kube-Scheduler (0) | 2023.04.08 |
---|---|
Kube Controller Manager (0) | 2023.04.08 |
Kube API server (0) | 2023.04.08 |
Docker 와 Container-D 이야기 (0) | 2023.04.07 |
Kubernetes Cluster 구성도 (0) | 2023.04.07 |